카테고리 없음
노년층 백신 예방접종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.
by storymisssunset
2025. 10. 22.
1. 접종 대상(자격)
(1) 코로나19 백신
- 2025-2026절기 국가임시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은 65세 이상 어르신(1960. 12. 31. 이전 출생자)입니다.
- 또한 면역저하자 및 감염취약시설 입원·입소자도 대상입니다.
- 연령대별 접종개시 일정이 정해져 있습니다. 예컨대 75세 이상은 2025.10.15부터, 70-74세는 10.20부터, 65-69세는 10.22부터 접종 가능하다는 안내가 있습니다.
(2) 인플루엔자(독감) 백신
- 어르신 무료접종 대상은 65세 이상(1960. 12. 31. 이전 출생자)부터 시작하며, 연령 구간별로 접종 시작일이 다릅니다.
- 예컨대 75세 이상은 2025.10.15~, 70-74세는 10.20~, 65-69세는 10.22~부터 접종기간이 시작된다는 안내가 있습니다.
(3) 폐렴구균(23가 백신 등)
- 65세 이상 어르신(1960. 12. 31. 이전 출생자) 중 아직 23가 다당질백신(PPSV23)을 접종하지 않은 분들이 대상입니다.
- 접종은 연중 가능하다는 안내가 많습니다.
노년층 백신 예방접종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.
2. 신청 및 접종 방법
(1) 전체 공통 사항
- 대상자가 되었다면 별도의 신청서 제출 없이 **지정된 위탁의료기관 또는 보건소(지소·진료소 포함)**를 방문하여 접종받을 수 있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.
- 방문 전에는 위탁의료기관에 백신잔여 여부, 접종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방문 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을 지참해야 합니다. 대상자별로 증빙서류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
- 접종일 이전에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(웹사이트)을 통해 위탁의료기관 검색 및 전자예진표 작성이 가능합니다.
(2) 백신별 구체적인 방법
- 코로나19 백신: 지정된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 가능하며, 연령대별 시작일이 있으므로 그 기간 이후 방문하면 됩니다. 접종 후 이상반응을 위해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무르라는 안내도 있습니다.
- 인플루엔자 백신: 지원백신은 3가백신(4가백신은 무료 지원 대상이 아님)이며, 접종 시작일이 연령대별로 다릅니다. 예컨대 65세 이상은 10월 중순부터 가능.
- 폐렴구균 백신(23가): 연령조건 충족 시 1회 무료접종 지원이며, 아직 접종이력이 없거나 대상이 되는 분이 접종을 하면 됩니다. 지정의료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후 방문하세요.
3. 신청 절차 요약
- 본인이 대상 여부(연령, 해당 연도 생년월일 기준 등)를 확인
- 거주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 위탁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 (주소지 무관)
- 방문 전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에서 위탁의료기관 검색 또는 전화로 가능한지 확인
- 방문 시 신분증, 대상자 해당 여부 증빙서류(예: 장애인카드, 국가유공자증,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)는 대상에 따라 지참
- 접종 전 예진표 작성 가능 → 필요 시 접종 당일 전자예진표 작성 또는 기관에서 작성
- 접종 후 15-30분 정도 접종기관에 머무르며 이상반응 관찰
- 접종 후 2일 정도 고강도 활동 자제 및 접종 부위 통증 등 이상반응 확인 → 이상현상 발생 시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연락
4. 유의사항 및 팁
- 접종기간 내에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백신 수량 한정될 수 있고, 접종 시작일 이전에는 무료지원 대상이 아니니 기간을 확인하세요.
- 백신 종류 및 연령대별 시작일이 매 절기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, 해당 연도 사업 공고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예컨대 인플루엔자는 3가백신만 무료지원되는 절기가 있습니다.
- 의료기관에 따라 백신 수량이 조기 소진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예약 또는 전화 확인을 권장드립니다.
- 만성질환자,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더욱 적극적으로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접종 후 이상반응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, 접종 전후 본인 건강상태를 체크하고, 접종 기관 안내사항을 잘 따르시는 것이 좋습니다.
- 접종기록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, 필요 시 접종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